2023년 65세 이상 어르신 폐렴구균 무료 예방접종

2023. 11. 3. 22:21생활정보

날씨가 점점 쌀쌀해져 가고 있는 요즘 국가예방 무료접종 지원사업인  65세 이상 어르신의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대상은 누구인지 어디에서 접종을 할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폐렴구균 예방접종

 

 

폐렴은 독감의 가장 흔한 합병증이며 추가적인 세균성 감염으로 인해  사망률이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폐렴은 폐실질에 생기는 염증으로 주로 폐렴구균에 의해 발생합니다. 감기는 콧물, 기침, 몸살이 주증상으로 보통 1주 내에 자연스레 좋아지는 반면 폐렴은 1~2 주 이상 지속되고 누런 가래가 동반되지만 일반인이 독감과 폐렴을 구분하기는 어렵다고 합니다. 

 

 

 

 

의료진에 의하면 폐렴은 독감의 가장 대표적인 합병증이기 때문에 독감 백신과 폐렴구균 백신을 함께 접종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특히 해당 질병들의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사람들에게는 더더욱 필요하겠습니다

 

 

접종대상

65세 이상 연령에서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맞지 않은 어르신이  대상자가 됩니다

1958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주민등록번호상의 출생연도 기준)

 

 

 

접종백신

폐렴구균 23가 다당 백신(PPSV23) , 1회 지원됩니다

 

접종은 2023년 일년 내내 가능합니다

 

폐렴구균 예방접종

 

접종기준

65세 이후에 접종 하신 분은 더 이상 접종이 불필요하고

 

65세 이전에 접종 하신 분은 의사와 추가접종 상의가 필요합니다

 

※ 독감 백신은 매년 맞아야 하지만, 폐렴구균은 종류에 따라 1~2회 접종만 하면 됩니다

 

 

폐렴구균 예방접종 나이
페렴구균 예방접종

 

 

 

폐렴구균 예방접종
폐렴구균 예방접종

 

 

접종기관

● 건강 상태가 좋은날, 언제든지  가까운 지정의료기관 및 보건소로 방문 하시면 됩니다

지정의료기관 찾기 CLICK

 

 

 

● 온라인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예방접종 도우미 누리집 바로가기 클릭

 

 

 

※ 지정의료기관이 아닌 곳에서는 예방접종 비용을 지원받으실 수 없습니다

 

 

 

예방접종 전, 후 주의사항

1. 건강상태가 좋은날, 접종기관에 예방접종이 가능한지 사전 확인 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2. 예방접종 전 반드시 의사의 예진을 받아야 합니다

 

3. 기저질환이 있는 어르신은 백신 선택(다당 백신 또는 단백결합백신) 및 접종시기 등을 의사와 먼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4. 접종 후 20~30분간 접존기관에 머물면서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한 후 귀가합니다

 

5. 접종부위는 청결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6.  접종 당일 음주나 지나친 운동, 샤워는 금하고, 반나절 이상 안정을 취합니다

 

 

마치며

폐렴구균에 의한 감염은 면역이 약한 영아, 소아, 65세 이상의 고령자에게 다발할수 있다고 합니다.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인 예방접종과  충분한 수면, 규칙적인 운동, 균형 잡힌 식사, 스트레스 관리로 건강하게 이번 겨울을 나시기 바랍니다~!!!